티스토리 뷰
목차
2025년 6월 3일은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D-1 앞으로 다가왔습니다. 6월 3일 대통령 선거일 당일에 선거하기가 어렵다면? 사전투표로 미리 투표를 완료할 수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사전투표소 찾는 방법과 실제 투표 절차를 구체적으로 알려드립니다.
✅ 사전투표란 무엇인가요?
사전투표(事前投票)는 별도의 신청 없이 전국 어디에서든 미리 투표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. 특히 주민등록지와 관계없이 전국 모든 사전투표소에서 가능해 바쁜 현대인들에게 필수적인 제도입니다.
- 투표 기간: 2025년 5월 29일(목) ~ 5월 30일(금)
- 투표 시간: 오전 6시 ~ 오후 6시 (12시간 내 자유롭게 가능)
- 대상: 만 18세 이상 대한민국 국민 (2007년 6월 4일 이전 출생자)
📍 사전투표소 위치 확인 방법
아래 방법 중 하나로 쉽게 현재 위치 기준 가장 가까운 사전투표소를 찾을 수 있습니다.
- 🔗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접속 → ‘사전투표소 찾기’ 메뉴 클릭
- 🔍 네이버 또는 다음에서 “2025 사전투표소 위치” 검색
- 📱 카카오맵 / 네이버지도 앱에서 “사전투표소” 검색
- 📲 정부24 앱 또는 선거 알림 문자 통해 안내받기
TIP: 위치 서비스(GPS)를 활성화하면 지도 기반으로 가장 가까운 투표소 자동 안내를 받을 수 있어요!
🧾 사전투표 준비물
사전투표에 필요한 준비물은 단 한 가지, 신분증입니다.
- ✔️ 주민등록증
- ✔️ 운전면허증
- ✔️ 여권
- ✔️ 청소년증
- ✔️ 정부 24 모바일 신분증 (스마트폰 앱 설치)
※ 우편물이나 안내문은 필요하지 않습니다. 신분증만 챙기세요!
🗳️ 사전투표 절차 관내/ 관외 유권자 안내
해당 구. 시. 군 관할구역 내에 주소를 둔 유권자 [관내유권자]
- 1️⃣ 사전투표소 도착
- 2️⃣ 신분증 제시 및 본인 확인
- 3️⃣ 투표용지 수령
- 4️⃣ 기표소에 비치된 용구로 기표
- 5️⃣ 투표함에 투입 → 투표 완료!
해당 구·시·군 관할구역 밖에 주소를 둔 유권자 [관외선거인]
- 1️⃣ 사전투표소 도착
- 2️⃣ 신분증 제시 및 본인 확인
- 3️⃣ 투표용지와 주소라벨이 부착된 회송용봉투 수령
- 4️⃣ 기표소에 비치된 용구로 기표후, 회송용봉투에 넣어 봉함
- 5️⃣ 투표함에 투입 → 투표 완료!
⏱️ 총 소요 시간 약 5~10분. 대기 인원이 많지 않다면 더욱 빠릅니다.
💡 사전투표 꿀팁
- 피크 타임(오전 9~11시, 오후 5시 이후)을 피하면 대기 시간 최소화!
- 노약자 및 장애인은 우선 안내 서비스 제공 가능
- 해외 체류자는 재외공관에서 사전투표 참여 가능 (별도 일정)
- 투표소 앞 인증숏은 OK, 기표소 안 촬영은 절대 금지!
📌 꼭 기억하세요!
✅ 사전투표는 5월 29일(목) ~ 30일(금), 단 2일 간만 진행
✅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전국 어디서든 참여 가능
✅ 주민등록지와 상관없이 근처 사전투표소 방문 OK
🔍 관련 키워드로 더 많은 정보 찾기
#2025 대통령선거
#사전투표소 위치
#사전투표 방법
#사전투표 준비물
#대선 투표절차
📢 마무리하며
대한민국의 미래를 결정할 제21대 대통령선거, 그 첫걸음은 바로 사전투표입니다.
나의 한 표가 바꾸는 변화, 놓치지 말고 참여하세요!
📅 2025년 5월 29~30일, 가장 가까운 사전투표소를 방문하셔서 소중한 한표를 행사해 보세요.
※ 본 콘텐츠는 2025년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공지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. 최신 정보는 NEC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해 주세요.